-
2024-02-27스파르타/TIL(Today I Learned) 2024. 2. 27. 23:06
오늘은 어제 마저 얼추 완성시켜둔 태블로 개인과제를 완성하였고 마무리지어 제출하였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주제 등 내용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사전에 미리 정해둘 수 있는 부분은 최대한 정하여 프로젝트 기간 동안의 시간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팀원들과 평소 모여 얘기하던 시간보다 일찍 모여 얘기를 오래 나누었다
먼저 모여서 이야기하기전에 대략적인 계획 등과 역할 분배등을 정해두기 위해서 미리 어느정도 노션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틀을 만들어 주었고
더보기노션에 단계 틀 만들어 둔 것 이미지
위 이미지들 처럼 3가지의 계층으로 나눠 틀을 만들어 주었다(방식은 저번 프로젝트 때 매니저님이 제공해주신 방식을 인용하여 내 나름대로 수정, 보완하였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세세한 일자까지 적을 수있게 해둔 최하위 세세한 할일 목록은 타임라인으로 전체적인 일정을 확인할 수 있게 추가해주었다
위에 만들어둔 것을 바탕으로 미리 각 단계별로 예상 일정을 짜볼려고 했는데 아무래도 하면서 변동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기도 하고 아직 주제 등 무엇을 할지가 정해지지 않아 무엇이냐에 따라 각 단계별 소모되는 기간이 많이 달라질 것 같아서 큰 틀만 주제가 정해지면 그때 크게 크게 정해서 자주 모여 이야기 나누면서 조율하고 합치고 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이야기가 되었다
그래서 우선 먼저 정할 수 있을 부분이나 미리 준비가 가능한 부분에 대해서는 미리 해둘려고 하여
우선 git관련하여 같이 작업한 부분을 추가하여 협업의 기록으로써 쓰기 위해 하는 방법을(나는 혼자 쓰는 방법은 알지만 협업의 용도로는 조금 다른 부분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아직 해본적이 없어서 모른다고 생각한다) 미리 정현석 튜터님께 말씀 드려놓은대로 가서 배울려고 한다(원래 오늘 저녁에 할려고 생각하였으나, 튜터님이 회사일이 바쁜 상황이셔서 아쉽지만 내일로 일정을 잡았다)
그리고 추가로 대략적으로 역할을 나눴는데 기본적으로 각 파트별로 메인을 정하고 나머지 인원들이 프리롤 서브로 그때 그때 서로 도와주는 방식을 제안하여 사용하였고 그에 따라 큰 파트로 발표는 윤은님이, 시각화중 EDA부분은 각자 해서 비교하고 선택하고 합치는 방식, ppt에 넣을 비교적 보기에 깔끔한 시각화는 내가, BI(아마 이번에 배운 태블로를 사용)를 만드는 것은 정식님이 메인으로, ppt 전체적인 틀과 마지막 마무리 및 검토는 지호님이 메인으로, 파이썬로 전체적인 틀, 코드 짜는 것은 내가 메인으로 담당하기로 일단 정하였다 이 부분은 차후 변수가 생기거나 할 경우 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오늘은 크게 개인과제와 프로젝트 전 계획짜기에 투자하였는데 계획짜는 부분에서 아직 주제 등의 무엇을 할지를 정하지 못한 상태에서(아마 이번에도 프로젝트는 선택지가 주어질 듯한데 거기에 추가로 자유주제도 가능하도록 해주신다고 했지만 마땅히 자유주제로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아서) 이것 저것 예상해서 정해보려고 하니 잘 안 되고 제약되는 부분이 많아 별로 정하지 못한 듯하여 아쉬웠다
그리고 t-test관련하여 어느정도는 어제와 그 이전에 공부해둬서 알고 있었지만 오늘 직접 파이썬을 이용하여(원래는 태블로로 한번 번거롭지만 계산해보려 했는데 이것 저것 제약도 많아 잘 안 되는 것 같고 용도 자체가 t-value 계산 등의 분석계산에는 적합하지 않은 듯하여 파이썬으로 해보았다) 계산해보았는데 패키지로 이미 있는 것을 이용해서 그런지 매우 간단하게 구해졌다(t-test부분은 어제 부분에 추가해둘 예정이니(원래 어제 적었는게 맞지만 컨디션 악화로 인해 간단히만 적고 일찍 잠자리에 누운 탓에 적어두지 않아 추가로 수정할 예정이다) 나중에 t-test관련하여 확인하고 싶으면 참고하면 될 것 같다)
그리고 매일 꾸준히 하고 있는 부분(코드카타나, 판다스 익숙해지기 같은 것)이 없어서 뭔가 너무 열심히 안 하나 싶은 느낌이 든다(아무래도 그런 것이 있다면 매일 매일 그러한 부분을 적어주게 되어 기본적으로 어느정도 TIL을 작성할 때 적을 분량이 생기는데 없다보니 뭔가 적기가 애매한 경우가 많아 그렇게 느껴지는 듯하다). 그래서 다시 꾸준히 하는 과정을 시작해야할 것 같은데 현재 고려하고 있는 부분은 SQL 코드카타 문제 다시 복습+ 어려워서 패스한 문제 다시 풀기, python 코드카타 복습+추가 문제 coding test에서 찾아서 풀어보기, pandas 문서보고 여러 예시 따라 해보면서 익숙해지기, pandas로 sql 문제 풀 수 있는 경우 찾아서 풀어보기, matplotlib 등 그래프 예제 연습해보기, 빅데이터 등 관련 책을 사서 매일 꾸준히 읽고 내용 정리하기, 이전 프로젝트 했던 부분 중 보완해서 포트폴리오화 가능한 부분들은 살려서 보완 후 포트폴리오화 하기, 도메인 탐색?, 데이터 분석가로써 파이썬 공부, streamit관련 공부?, 이전 블로그 내용 부실하게 적고 패스한 부분 보완하기, 알고리즘 관련 공부 대강 공부해볼만한 내용은 이정도가 있을 것 같은데 당장 할 수 있을 만큼 간단하고 꾸준히 할만하며 git hub 잔디 심기에도 좋을 만한 내용은 SQL 코드카타 문제 다시 복습, pandas로 sql 문제 풀 수 있는 경우 찾아서 풀어보기와 빅데이터 등 관련 책을 사서 매일 꾸준히 읽고 내용 정리하기 이렇게 3개가 가장 끌려서 고려해볼 것 같다
'스파르타 >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02-29 (0) 2024.02.29 2024-02-28 (0) 2024.02.28 2024-02-26 (1) 2024.02.26 2024-02-23(수정필요) (0) 2024.02.24 2024-02-22 (0) 2024.02.22